47 th TOPIKⅡWriting Questions, English Translations, Model answers

※ [51~52] 다음을 읽고 ㄱ과 ㄴ에 들어갈 말을 각각 한 문장으로 쓰시오.

51番

Full text and English translation

제목 : 선배님, 빅토르입니다.
선배님, 안녕하십니까? 빅토르입니다.
부탁드릴 일이 있어 메일을 씁니다.
제가 인터넷으로 ( ㄱ ).
그런데 카메라가 이번 주 금요일에 배달된다고 합니다.
제가 그날 고향에 가야 해서 카메라를 직접 받을 수 없을 것 같습니다.
혹시 저 대신에 ( ㄴ )?
어려운 부탁을 드려서 죄송합니다.
그럼 답장 기다리겠습니다.
빅토르 드림

Subject: Senior, this is Victor.
Senior, how are you? I am Victor.
I am writing an email to ask you for a favor.
I ( ㄱ ) on the internet.
However, it says that the camera will be delivered this Friday.
Since I have to go to my hometown that day, it looks like I will not be able to receive the camera in person.
Could you by any chance ( ㄴ ) instead of me?
I am sorry for the difficult request.
I am waiting for your reply.
From Victor

Model answers

카메라를 주문했습니다/카메라를 구입했습니다/카메라를 샀습니다: ordered a camera / purchased a camera / bought a camera

카메라를 받아 주실 수 있으십니까: receive the camera

52

 

Full text and English translation

사람의 손에는 눈에 보이지 않는 세균이 많다.
그래서 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자주( ㄱ ).
그런데 전문가들은 손을 씻을 때 꼭( ㄴ ).
비누 없이 물로만 씻으면 손에 있는 세균을 제대로 없애기 어렵기 때문이다.

There are many invisible germs in human hands.
So, ( ㄱ ) frequently to prevent diseases.
However, experts ( ㄴ ) when washing hands.
This is because it is difficult to remove germs from hands when washing with water alone without soap.

Model answers

손을 씻어야 한다:you must wash your hands

비누를 사용하라고 한다/비누로 씻으라고 한다:tell us to make sure to use soap/wash with soap

53

다음을 참고하여 ‘국내 외국인 유학생 현황’에 대한 글을 200~300자로 쓰시오. 단, 글의 제목을 쓰지 마시오.

English translation

다음을 참고하여 ‘국내 외국인 유학생 현황’에 대한 글을 200~300자로 쓰시오. 단, 글의 제목을 쓰지 마시오.
Referring to the following, please write a 200~300 word essay about “Current Status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the Country.” Please do not write the title of the statement.

외국인 유학생 현황 :Current Status of International Students

【Left image】

유학생 수의 변화 :Change in the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4천명 :4,000
2000 :2000
10만 명 : 100,000
2016 :2016
(연도) :(Year)

【Top right image】

증가 원인:Cause of increase
1.한국·한국어에 대한 관심 :1. Interest in Korea and Korean language
2.한국 대학의 유학생 유치 노력 :2. Korean universities’ efforts to attract international students

【Lower right image】

기대 :Expectation
외국인 유학생 20만 명:200,000 international students
(2023년) :(2023 year)

Model Answers

최근 국내에서 유학하는 외국인 유학생이 급증했다. 2000년에 4천 명이던 유학생이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다 잠시 주춤하더니 다시 증가세를 보이며 2016년에 이르러 10만 명이 되었다. 이러한 증가의 원인으로 우선 외국인들의 한국과 한국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한 것을 들 수 있다. 한국 대학에서 유학생을 유치하려는 노력도 유학생의 증가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영향이 계속 이어진다면 2023년에는 외국인 유학생이 20만 명에 이를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ly, the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studying in the country has rapidly increased. The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which was 4,000 in 2000, showed a sharp upturn, then stagnated for a while, but then showed an upward trend again and reached 100,000 in 2016. The reason for this increase is first, the growing interest of foreigners in Korea and the Korean language. Efforts by Korean universities to attract foreign students also appear to hav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increase in international students. If such effects continue, the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is expected to reach 200,000 by 2023.

54

다음을 주제로 하여 자신의 생각을 600~700자로 글을 쓰시오. 단, 문제를 그대로 옮겨 쓰지 마시오.

Full text and English translation

다음을 주제로 하여 자신의 생각을 600~700자로 글을 쓰시오. 단, 문제를 그대로 옮겨 쓰지 마시오.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는 말처럼 칭찬에는 강한 힘이 있습니다. 그러나 칭찬이 항상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닙니다. 아래의 내용을 중심으로 칭찬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쓰십시오.

・칭찬이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은 무엇입니까?
・부정적인 영향은 무엇입니까?
・효과적인 칭찬의 방법은 무엇입니까?

Write your thoughts in a 600~700 word essay on the following subject. However, do not copy and paste the questions.

As the saying goes “praise makes even whales dance,” praise has a strong power. However, praise does not always have a positive impact. Write your own thoughts on praise, focusing on the following:

What is the positive impact of praise?
What are the negative effects?
What are effective ways to praise?

Model Answers

우리는 칭찬을 들으면 일을 더 잘하고 싶어질 뿐만 아니라 좀 더 나은 사람이 되고 싶은 마음이 든다. 그리고 자신감이 생겨 공부나 일의 성과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래서 자신이 가진 능력 이상을 발휘하고 싶어지는 도전 정신이 생기기도 하는 것이다. 한 마디로 말해 칭찬은 사람을 한 단계 더 발전시키는 힘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칭찬이 독이 되는 경우가 있다. 바로 칭찬이 상대에게 기쁨을 주는 것이 아니라 부담을 안겨 주는 경우이다. 칭찬을 들으면 그 기대에 부응해야 한다는 압박감 때문에 자신의 실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일이 생기게 된다. 칭찬의 또 다른 부정적인 면은 칭찬 받고 싶다는 생각에 결과만을 중시하게 되는 점이다. 일반적으로 칭찬이 일의 과정보다 결과에 중점을 두고 행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가 상대를 칭찬할 때에는 그 사람이 해낸 일의 결과가 아닌, 그 일을 해내기까지의 과정과 노력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그래야 칭찬을 듣는 사람도 일 그 자체를 즐길 수 있다. 또한 칭찬을 듣고 잘 해내야 한다는 부담에서도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보통 칭찬을 많이 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 칭찬은 그 방법 역시 중요하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When we hear praise, we not only want to do our jobs even better, but we also want to be better people. And it creates self-confidence and has a positive impact on our studies and work performance. So, it creates a spirit of challenge that makes us want to go beyond what we are capable of. In a word, praise has the power to develop a person one step further.
However, there are times when such praise can be poisonous. This is when praise does not bring joy to the other person, but puts pressure on them. When we hear praise, because of the pressure to live up to its expectations, it may prevent us from demonstrating our ability to perform to our full potential. Another negative aspect of praise is that the thought of receiving praise leads us to focus only on results. This is because praise is generally focused on the results rather than the process of work.
Therefore, when we praise someone, it is important to focus not only on the results of what they achieved, but also the process and effort that went into getting the job done. By doing so, the person receiving the praise can enjoy the work itself. Also, it will take the pressure off of them to perform well in order to receive praise. We usually think it’s important to give lots of praise, but we should not forget that the way we give praise is just as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