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1~52] 다음을 읽고 ㄱ과 ㄴ에 들어갈 말을 각각 한 문장으로 쓰시오.
51
Full text and English translation
※ [51~52] 다음을 읽고 ㄱ과 ㄴ에 들어갈 말을 각각 한 문장으로 쓰시오.
※ [51~52] Read the following and write one sentence that fits in ㄱ and ㄴ.
제목:선생님, 샤오밍입니다.
이재정 선생님께
안녕하세요? 샤오밍입니다.
지난주에 댁으로 초대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선생님 덕분에 재미있는 시간을 보냈습니다.
이번에는 ( ㄱ ).
다음 주 월요일과 수요일 중에 언제가 좋으십니까?
저는 ( ㄴ ).
편하신 오후 시간을 말씀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샤오밍 올림
Title: Dear teacher, I am Xiao Ming.
Dear teacher Lee Jaejung
Hello, I am Xiao Ming.
Thank you for inviting me to your home last week.
Thanks to you, I had a good time with you.
This time ( ㄱ ).
When would you prefer Monday or Wednesday of next week?
I ( ㄴ ).
I would appreciate it if you could tell me what time of the afternoon is convenient for you.
From Xiao Min
Model answers
ㄱ 제가 선생님을 집으로 초대하고 싶습니다: I would like to invite you (my teacher) home.
ㄴ오후에는/언제든지 다 괜찮습니다: am fine in the afternoon/anytime
52
Full text and English translation
머리는 언제 감는 것이 좋을까? 사람들은 보통 아침에 머리를 감는다. 그러나 더러워진 머리는 감고 자야 머릿결에 좋기 때문에 ( ㄱ ). 그런데 젖은 머리로 자면 머릿결이 상하기 쉽다. 따라서 ( ㄴ ).
만약 머리를 말리기 어려우면 아침에 감는 것이 더 낫다.
When should we wash our hair? People usually wash their hair in the morning. However, ( ㄱ ) because it is better for your hair to wash dirty hair and go to bed. But if you go to bed with wet hair, your hair will be easily damaged. Therefore ( ㄴ ). If it is difficult to dry your hair, it is better to wash it in the morning.
Model Answers
ㄱ머리는 저녁에 감는 것이 좋다: it is better to wash your hair in the evening
ㄴ자기 전에 머리를 말리고 자야 한다: you must dry your hair before going to bed
53
다음을 참고하여 ‘아이를 꼭 낳아야 하는가’에 대한 글을 200~300자로 쓰시오. 단, 글의 제목을 쓰지 마시오.
English translation
다음은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대해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입니다. 그래프를 보고, 조사 결과를 비교하여 200~300자로 쓰십시오.
The following is a survey of teachers and students on how to improve their writing skills. Look at the graph and write 200-300 words comparing the survey results.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방법 :How to improve writing skills
【upper bar graph】
교사 (300명): Teachers (300 people)
45%
30%
25%
【Lower bar graph】
학생 (300명): Students (300 people)
25%
10%
65%
【Graph Explanation Column】
책 많이 많기 :Read a lot of books
좋은 글 따라 쓰기 : Imitate and write good sentences
다양한 주제로 연습하기:Practice on diverse topics
Model Answers
교사와 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 키는 방법에 대해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교사와 학생의 생각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교사의 경우 글을 잘 쓰려면 책을 많이 읽어야 한다가 45%로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학생의 경우에는 다양한 주제로 연습하기가 65%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교사는 좋은 글을 따라 써야 한다가 30%, 다양한 주제로 연습해야 한다가 25%를 차지했다. 반면에 학생들은 책을 많이 읽어야 한다가 25%로 나타났고, 좋은 글을 따라 써야 한다 는 10%에 그쳤다.
A survey was conducted for 300 teachers and students on how to improve writing skills. As a result, it showed that teachers and students have different ideas. For teachers, to write good sentences, “we must read a lot of books” was the highest response 45%, while for students, “practice on diverse topics” was the highest response 65%. Next, for teachers, “must imitate and write good sentences” was 30%, followed by “must practice diverse topics” at 25%. On the other hand, students were represented by “must read a lot of books” at 25%, while “must imitate and write good sentences” was only 10%.
54
다음을 주제로 하여 자신의 생각을 600~700자로 글을 쓰시오. 단, 문제를 그대로 옮겨 쓰지 마시오.
Full text and English translation
다음을 주제로 하여 자신의 생각을 600~700자로 글을 쓰시오. 단, 문제를 그대로 옮겨 쓰지 마시오.
세계 어느 나라에서나 역사를 가르칩니다. 이는 지나간 일을 기록한 역사가 오늘날의 우리에게 주는 가치가 분명히 있기 때문일 것입니다. 여러분은 우리가 왜 역사를 알아야 하고, 그 역사를 통해서 무엇을 배울 수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이에 대해 쓰십시오.
Write your thoughts in 600~700 word sentences on the following subject. However, please do not copy and write the questions.
Every country in the world teaches history. This is because history, the record of what happened in the past, has obvious value for us today. Why do you think we need to know history and what can we learn from it? Write about it.
Model Answers
지난날에 대한 반성 또는 위대한 업적 등이 후대에게 전해지기를 바라는 마음이 기록으로 이어지고 그것이 바로 우리가 지금 ‘역사’라고 부르는 것이다. 우리가 역사를 기록하는 이유는 지금 일어나는 사실을 다음 세대에게 전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역사는 우리에게 지금의 ‘나’를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준다. 현재는 과거에서 비롯된 것이므로 과거를 살펴봄으로써 현재 일어나고 있는 일에 대해 이해하도록 돕는다. 그리고 역사는 과거에 있었던 가슴 아픈 사건이 다시 반복되지 않도록 우리에게 교훈을 주기도 한다.
더불어 역사의 기록을 통해 우리는 앞으로 일어날 일을 예측하고 이를 준비할 수도 있다. 얼마 전 신문 기사에 따르면 한 연구자가 옛 문서에 기록된 역사적인 사실을 분석하여 오늘날의 우리가 겪고 있는 심한 가뭄을 미리 알리면서 대비를 경고한 바 있다. 이는 역사의 가치를 보여주는 한 예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듯 역사는 과거의 사실을 아는 데에서 출발하여 현재의 ‘나’를 이해하고 더 나은 미래를 향한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결국 과거의 역사는 현재로, 현재는 다시 미래의 역사로 이어지는 연속적인 관계 속에 존재하기 때문이다.
Reflection on days gone by, or the desire to see great achievements handed down to future generations, leads to record what we now call “history.” The reason we record history is to pass on the facts of the present to the next generation.
Such history provides us with the opportunity to understand “ourselves” today. Since the present began in the past, looking at the past helps us understand what is happening in the present. History also teaches us lessons so that the heartbreaking events of the past will not be repeated.
Moreover, through the historical record, we can anticipate and prepare for what will happen in the future. According to a newspaper article some time ago, a researcher analyzed historical facts recorded in old documents, and warned us in advance of the severe droughts we are experiencing today to prepare for them. It can be said that this is an example of showing the value of history.
In this way, history is important in that it starts from the knowledge of past facts, understands our present “self,” and points us in the direction of a better future. After all, the past exists in a continuous relationship to the present, and the present to future h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