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th TOPIKⅡWriting Questions, English Translations, Model answers

※ [51~52] 다음을 읽고 ㄱ과 ㄴ에 들어갈 말을 각각 한 문장으로 쓰시오.

51

 

Full text and English translation

한국대학교 도서관
제목: 도서관을 이용하고 싶습니다.
작성자 : 타넷(2018-10-20)
한국대학교를 졸업한 학생인데 도서관을 이용하고 싶습니다.
선배에게 물어보니 졸업생이 도서관을 이용하려면 출입증이 ( ㄱ ).
출입증을 만들려면 ( ㄴ )?
방법을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Library of Korea University
Title: I want to use the library.
By (Author): Thanet (2018-10-20)
I am a student who graduated from Korea University and I want to use the library.
When I asked my senior, if the graduate wants to use the library, ( ㄱ ) a pass.
( ㄴ ) to make the pass?
I’d appreciate it if you could tell me how.

Model answer

ㄱ 필요하다고 합니다/있어야 한다고 합니다: I heard I need /I heard I must have

ㄴ 어떻게 해야 합니까/어떻게 해야 됩니까: What should I do

52

 

Full text and English translation

사람들은 음악 치료를 할 때 환자에게 주로 밝은 분위기의 음악을 들려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환자에게 항상 밝은 분위기의 음악을 ( ㄱ ). 치료 초기에는 환자가 편안한 감정을 느끼는 것이 중요하다. 그래서 환자의 심리 상태와 비슷한 분위기의 음악을 들려준다. 그 이후에는 환자에게 다양한 분위기의 음악을 들려줌으로써 환자가 다양한 감정을 ( ㄴ ).

People think that when giving music therapy, the main thing is to play music with a cheerful atmosphere to patients. However, they do not always ( ㄱ ) music with a cheerful atmosphere to patients. In the early stages of treatment, it is important for the patient to feel peaceful emotions. Therefore, we play music that is similar to the patient’s psychological state. After that, we play music with a variety of moods so that the patient ( ㄴ ) a variety of emotions.

Model answer

ㄱ 들려주는 것은 아니다/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let (patients) hear / use

ㄴ 느끼도록 한다/느끼게 한다: feel / make (patients) feel

53

다음을 참고하여 ‘인주시의 자전거 이용자 변화’에 대한 글을 200~300자로 쓰시오. 단, 글의 제목을 쓰지 마시오.

 

English translation

다음을 참고하여 ‘인주시의 자전거 이용자 변화’에 대한 글을 200~300자로 쓰시오. 단, 글의 제목을 쓰지 마시오.
Please write a 200-300 word article about “Changes in Bicycle Users in Inju City” using the following as a reference. However, please do not copy and write the questions.

[Image in upper left corner]

자전거 이용자 수:Number of bicycle users
단위:명:Unit: persons
약 5배:5 times
4만 / 9만 / 21만:40,000 / 90,000 / 210,000
2007년 / 2012년 / 2017년:Year 2007 / 2012 / 2017

[Image in the upper right corner]

변화 이유:Reasons for change
자전거 도로 개발:Development of bicycle paths
자전거 빌리는 곳 확대:Expansion of bicycle rental places

[Image below]

이용 목적:Purpose of use] 운동 및 산책 / 출퇴근 / 기타:Exercise and walking / commuting / Other
4배 / 14배 / 3배:4 times / 14 times / 3 times

Model answers

인주시의 자전거 이용자 변화를 살펴보면, 자전거 이용자 수는 2007년 4만 명에서 2012년에는 9만 명, 2017년에는 21만 명으로, 지난 10년간 약 5배 증가하였다. 특히 2012년부터 2017년까지 자전거 이용자 수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자전거 이용자 수가 증가한 이유는 자전거 도로가 개발되고 자전거 빌리는 곳이 확대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자전거 이용 목적을 보면, 10년간 운동 및 산책은 4배, 출퇴근은 14배, 기타는 3배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으며, 출퇴근 시 이용이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Looking at the change of bicyclists in Inju City, the number of bicyclists has increased from 40,000 people in 2007 to 90,000 people in 2012 and 210,000 in 2017, about fivefold over the past decade. In particular, the number of bicyclists increased rapidly from 2012 to 2017. This increase in the number of bicyclists is likely due to the development of bicycle paths and the expansion of bicycle rental places. In terms of the purpose of bicycle use, exercise and walking increased fourfold, commuting increased 14 times, and other increased 3 times over the decade, with commuting having the highest growth rate.

54

다음을 주제로 하여 자신의 생각을 600~700자로 글을 쓰시오. 단, 문제를 그대로 옮겨 쓰지 마시오.

 

Full text and English translation

다음을 주제로 하여 자신의 생각을 600~700자로 글을 쓰시오. 단, 문제를 그대로 옮겨 쓰지 마시오.

요즘은 아이가 학교에 들어가기 전 어릴 때부터 악기나 외국어 등 여러 가지를 교육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조기 교육은 좋은 점도 있지만 문제점도 있다. 아래의 내용을 중심으로 ‘조기 교육의 장점과 문제점’에 대해 자신의 의견을 쓰라.

・조기 교육의 장점은 무엇인가?
・조기 교육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조기 교육에 찬성하는가, 반대하는가? 근거를 들어 자신의 의견을 쓰라.

In 600 to 700 words, write your thoughts on the following topics. However, please do not copy and write the questions.

Nowadays, children are often taught musical instruments, foreign languages, and other things at an early age before they start school. This early education has both benefits and problems. Write your own opinion on the topic “benefits and problems of early education”, focusing on the following points.

・What are the benefits of early education?
・What are the problems with early education?
・Do you favor or oppose early education? Support your opinion with evidence.

Model answers

요즘은 학교에 들어가지 않은 아이들에게 다양한 교육을 실시하는 경우가 많다. 어릴 때부터 이루어지는 조기 교육은 좋은 점도 있지만 문제점도 있다.
먼저 조기 교육의 가장 큰 장점은 아이의 재능을 일찍 발견하고 아이가 가진 잠재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예체능계의 유명인 중에는 어릴 때부터 체계적인 교육을 받은 경우가 많다. 또 다른 조기 교육의 장점은 아이의 학업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이다. 이 외에도 조기 교육에서의 다양한 경험은 아이의 세계관을 넓히는 데 도움이 된다.
그러나 조기 교육은 부모의 강요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아이는 스트레스를 받거나, 억압적인 학습 경험의 반발로 학업에 흥미를 느끼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조기 교육이 과도하게 이루어질 경우, 아이들의 정서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조기 교육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위의 문제점을 고려하였을 때 조기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진정한 교육이란 학습자의 자발성과 내적 동기를 전제로 이루어진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아이는 발달 중에 있고 경험이 적기 때문에 자신이 무엇을 배우고 싶은지 명확히 인지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이는 아이의 동기보다 보호자의 바람이 조기 교육에 더 큰 영향을 미치게 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러한 이유로 조기 교육을 실시하는 것에 반대한다.

Nowadays, children who are not in school are often educated in various ways. Early education at a young age has both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The main advantage of early education is that it allows you to discover a child’s talents early on and maximize their potential. For example, many famous people in the arts and athletics received a systematic education from an early age. Another advantage of early education is that it can make your child more competitive academically. Besides this, the variety of experiences in early education helps to broaden a child’s worldview.
However, the problem with early education is that it can be forced by parents. This can lead to a child feeling stressed or disinterested in school as a reaction to an oppressive learning experience. In addition, too much early education can have a negative impact on children’s emotional development.
Despite the benefits of early education, I do not believe it is appropriate to implement early education given the above issues. I believe that true education is based on the learner’s own initiative and internal motivation. Since children are still developing and have little experience, they are unlikely to have a clear idea of what they want to learn. This is why the wishes of the parents have a greater influence on early education than the motivation of the child. For these reasons, I’m against early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