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3rd TOPIKⅡ Writing Questions, English Translations, Model answers

TOPIK Ⅱ 쓰기 (51번~54번)

 

※ [51~52] 다음을 읽고 ㄱ과 ㄴ에 들어갈 말을 각각 한 문장으로 쓰시오.
※ [51~52] Read the following and write the words that go into ㄱ and ㄴ in one sentence.

51

Full text and English translation

축제 관련 문의
지난 주말 ‘인주시 별빛 축제’에 갔던 외국인입니다.
지금까지 살면서 이렇게 많은 별을 ( ㄱ ) 한 번도 없었습니다.
이번 축제에서 별도 보고 공연도 볼 수 있어서 정말 좋았습니다.
혹시 축제가 언제 또 있습니까?
있다면 이런 멋진 경험을 다시 ( ㄴ ).

Inquiries about the festival
I am a foreigner who attended the “Inju City Star Light Festival” last weekend.
In my entire life, I ( ㄱ ) so many stars before.
It was truly wonderful to be able to enjoy both the stars and the performances at this festival.
Do you know when the next festival will be?
If there is, ( ㄴ ) experience such a fantastic event once again.

Model answers

( ᄀ ) 본 적이: have seen it

( ᄂ ) 하고 싶습니다: I want to

 

52

Full text and English translation

식물은 다양한 방법으로 자신을 보호한다. 덩굴성 야자나무는 빈 줄기를 개미에게 집으로 제공한다. 이 나무에 다른 동물이 다가오면 줄기 속에 있던 개미들은 밖으로 나온다. 이때 개미들의 움직임으로 소리가 생긴다. 이 소리는 동물을 깜짝 ( ㄱ ). 결국 놀란 동물은 나뭇잎을 먹지 못하고 달아나 버린다. 식물학자들은 이것이 바로 이 나무가 자신을 보호하는 ( ㄴ ).

Plants protect themselves in a variety of ways. Vine palm trees provide ants with empty stems as their homes. When other animals approach this tree, the ants come out from the stem. At this time, the movement of ants makes a sound. This sound can ( ㄱ ) the animals. Eventually, the surprised animals cannot eat the leaves and run away. Botanists ( ㄴ ) by which this tree protects itself.

Model answers

( ᄀ ) 놀라게 한다 :surprise

( ᄂ ) 방법이라고 한다 : call this is a method

 

53

다음은 ‘편의점 매출액 변화’에 대한 자료이다. 이 내용을 200~300자의 글로 쓰시오. 단, 글의 제목은 쓰지 마시오.

English translation

【Question】
● 조사 기관 : 인주시 사회연구소
● Research institution: Inju City Social Research Institute

【Left image】
인주시의 가구 수 — Number of households in Inju City
(단위 : 가구): (unit: household)
15만: 150,000
1.4배:1.4 times
21만: 210,000
2001년: 2001
2021년: 2021

【Top right image】
인원수별 가구의 비율: Percentage of households by number of people
(단위: %): (unit: %)
1인 가구: Single-person household
2-3인 가구: Households with 2-3 people
4인 이상 가구 : Households with 4 or more people

【Bottom right image】
원인 ・20대 독립↑, 노인 가구 ↑: Cause · Independent 20s ↑ Elderly household ↑
전망 ・2040년 1인 가구 43% 이상: Outlook · 43% or more of single-person households in 2040

Model answers

인주시 사회연구소에서는 인주시의 가구 수 변화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인주시의 가구 수는 2001년에 15만 가구에서 2021년에는 21만 가구로 1.4배 증가하였다. 이는 인원수별 가구의 비율이 1인 가구는 2001년에 15%에서 2021년에는 30%로 크게 증가하였고 2~3인 가구는 45%에서 50%로 증가한 반면, 4인 이상 가구는 40%에서 20%로 큰 폭으로 감소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변화는 독립한 20대와 노인 가구 증가의 결과로 보인다. 2040년에는 1인 가구가 43% 이상이 될 전망이다.

The Inju City Social Research Institute conducted a survey on the changes in the number of households in Inju City.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 the number of households in Inju City increased 1.4 times, from 150,000 households in 2001 to 210,000 households in 2021. This increase is due to the fact that the proportion of single-person households rose significantly, from 15% in 2001 to 30% in 2021, while two- to three-person households increased from 45% to 50%. On the other hand, households with four or more people decreased sharply from 40% to 20%. This shift is seen as a result of the increase in both independent 20s and elderly households. By 2040, single-person households are projected to exceed 43%.

 

54

다음을 참고하여 600~700자로 글을 쓰시오. 단, 문제를 그대로 옮겨 쓰지 마시오.
Refer to the following and write a passage of 600 to 700 characters. Do not copy the prompt exactly.

 

Full text and English translation

창의력은 새로운 것을 생각해 내는 능력이다. 현대 사회는 개인에게 창의력을 더 많이 요구하고 있다. 아래의 내용을 중심으로 ‘창의력의 필요성과 이를 기르기 위한 노력’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쓰라.

• 창의력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 창의력을 발휘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성과는 무엇인가?
• 창의력을 기르기 위해서 어떠한 노력을 할 수 있는가?

Creativity is the ability to think of new ideas. Modern society demands more creativity from individuals. Based on the points below, write your thoughts on “The Necessity of Creativity and Efforts to Cultivate It.”

– Why is creativity necessary?
– What results can be achieved when creativity is exercised?
– What kind of efforts can be made to cultivate creativity?

Model answers

변화와 발전을 끊임없이 요구하는 현대 사회에서 창의력은 꼭 필요하다. 먼저 창의력은 새로운 관점을 가져온다. 정보가 넘쳐나는 오늘날 새로운 관점이 있으면 차별화된 시각으로 정보를 통합하고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우리 사회는 새로운 시도 없이는 발전하기 어려운데 창의력은 기존 사고에 머무르지 않고 변화를 시도할 수 있게 돕는다. 나아가 창의력은 기존의 사고만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창의력은 새로운 사고를 할 수 있게 하므로 창의력을 발휘했을 때 우리는 다양한 성과를 얻을 수 있다. 창의력을 발휘하면 자신의 업무 분야에서 뛰어난 업무 성과를 보일 수 있다. 또한 예술과 문화의 영역에서 음악이나 영화 등 새로운 콘텐츠를 만들어 냄으로써 사람들에게 신선한 감동을 줄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획기적인 사고를 바탕으로 삶의 질을 높여주는 새로운 상품이나 기술을 발명하여 사회에 기여할 수 있다.
창의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먼저 독서 및 다양한 경험을 통해 사고의 폭을 넓혀야 한다. 또한 눈에 보이는 현상에만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현상 뒤에 숨겨진 원인을 탐색하고 새로운 관점으로 문제에 접근하는 태도를 가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기존의 정답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비판적 사고를 바탕으로 새로운 해결 방안이 없는지를 모색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In today’s society, which demands constant change and development, creativity is a must. First, creativity brings a new perspective. In today’s information-rich world, a new perspective allows us to integrate and utilize information with a differentiated vision. Also, it is difficult for our society to develop without trying new things, but creativity helps us to go beyond existing thinking and to try to change. In addition, creativity plays an important role in solving problems that are difficult to solve with existing thinking alone.
Thus, since creativity enables us to think in new ways, we can achieve a wide variety of results when we exercise our creativity. When we exercise our creativity, we can achieve outstanding results in our field of work. Besides, in the field of art and culture, we can create new content, such as music and movies, that will bring fresh impressions to people. In addition, they can contribute to society by inventing new products and technologies that enhance the quality of life based on their groundbreaking thinking.
To cultivate creativity, we must first broaden our thinking through reading and diverse experiences. In addition, we must have the attitude to approach problems from a new point of view, not concentrating only on visible phenomena, but also exploring the causes hidden behind the phenomena. Finally, we must not remain only with the existing correct solutions, but must make efforts to search for new solutions based on critical thinking.